일본음악저작권관리사업자에 대한 간단 설명
2008.11 올챙이
목차
1. 일본음악저작권관리사업자 현황
2. 일본음악저작권협회(JASRAC)
3. 등록제 이후의 JASRAC
4. 등록제 이후의 일본음악저작권사용 환경의 변화에 대한 평가
1.일본음악저작권관리사업자
4개 단체
1. 일본음악저작권관리사업자 현황
2. 일본음악저작권협회(JASRAC)와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KA)
회원제도
- 위탁자
- 준회원
- 정회원 : 준회원 + 가입 후 3년 경과 + 분배액이 과거 3년간 매년 30만엔 이상일 경우
의결기관
- 이사회
- 평의원회 : 3년 마다 정회원 중 선거를 통해 선출(65인 이상 75인 이내)
회원제도
- 준회원
- 정회원 : 입회년수 ÷ 협회년수 x 각 부문별 승인대상 회원 중 최고 소득자의 5년간 총 사용료의 10% + 5년간의 저작권 총 사용료 (@_@??)
의결기관
- 이사회
- 평의원회 : 만 50세 이상 된 정회원 총회와 이사회를 통해 선출된 25인으로 구성(??)
3. 등록제 이후의 JASRAC
사용료징수액 증가
3. 등록제 이후의 JASRAC
징수액의 질 &구성내용의 긍정적 변화
3. 등록제 이후의 JASRAC
데이터 베이스 화 추진
- DAWN-ACT 시스템화
- Log Data의 전산화
- 분배액 관리 전산화
그 외 등등
3. 등록제 이후의 JASRAC
문화 사업추진
저작권에 대한 이해를 증진
등록제 이후의 일본음악저작권사용 환경의 변화에 대한 평가
'ThePalace > 저작권법청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저협 자료집 (0) | 2012.07.12 |
---|---|
자료집(음저협) (0) | 2012.07.12 |
보도분배자료 허위 조작 과다한 수수료 등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운영 개혁 (0) | 2012.07.12 |
발의저작권법일부개정법률안 (0) | 2012.07.12 |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 (0) | 2012.07.12 |